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매수세가 빠르게 위축되며 하락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p 하락한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이러한 흐름은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는데, 7월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p 줄었지만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도내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서울시 역시 상승 거래 비중은 53.2%에서 51.1%로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다만,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는데, 상승 거래 비중은 43.3%로 보합세를 기록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40.6%에서 42.2%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직방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6억 원 한도 제한’, ‘소유권 이전 등기 전 전세대출 금지’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가 수도권 및 규제지역에 집중 적용되며 핵심 지역에 대한 투자 수요는 물론 실수요층까지 매수 부담이 커지며 관망세로 전환되는 분위기”라며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